티스토리 뷰
목차
📢 청년기본소득 관련 문의사항이 있으신가요?
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과 지급 절차, 경기지역화폐 사용처 등에 대한 문의는각 시·군별 청년정책 담당 부서에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.
아래 표를 참고하여 해당 지역의 문의처를 확인하시고 100만원 청년기본소득 신청하세요!
청년기본소득 시·군별 문의처
연번 | 시·군명 | 부서명 | 연락처 | 콜센터 |
1 | 경기도 | 청년기회과 | 031-8008-3439 | 031-120 |
2 | 수원시 | 청년청소년과 | 031-228-3963 | 1899-3300 |
3 | 고양시 | 일자리정책과 | 031-8075-2724 | 031-909-9000 |
4 | 용인시 | 청년담당관 | 031-6193-2793 | 1577-1122 |
5 | 성남시 | 청년청소년과 | 031-729-8503 | 1577-3100 |
6 | 부천시 | 청년청소년과 | 032-625-3722 | 032-320-3000 |
7 | 화성시 | 청년청소년정책과 | 031-5189-3948 | 1577-4200 |
8 | 안산시 | 청년정책관 | 031-369-1655 | 1666-1234 |
9 | 남양주시 | 청년정책과 | 031-590-8538 | - |
10 | 안양시 | 청년정책관 | 031-8045-5779 | 031-8045-7000 |
11 | 평택시 | 청년정책과 | 031-8024-3078 | - |
12 | 시흥시 | 청년청소년과 | 031-310-3692 | - |
13 | 파주시 | 청년청소년과 | 031-940-8663 | - |
14 | 의정부시 | 청년정책과 | 031-828-2172 | - |
15 | 김포시 | 일자리정책과 | 031-980-5889 | 031-980-2114 |
16 | 광주시 | 지역경제과 | 031-760-8909 | - |
17 | 광명시 | 사회적경제과 | 02-2680-6372 | 1688-3399 |
18 | 군포시 | 아동청소년과 | 031-390-0567 | 1588-3385 |
19 | 하남시 | 청년일자리과 | 031-5182-1238 | - |
20 | 오산시 | 지역경제과 | 031-8036-7577 | - |
21 | 양주시 | 아동청소년과 | 031-8082-5873 | - |
22 | 이천시 | 청년아동과 | 031-645-3692 | - |
23 | 구리시 | 일자리경제과 | 031-550-2997 | - |
24 | 안성시 | 사회복지과 | 031-678-6857 | - |
25 | 포천시 | 일자리경제과 | 031-538-2562 | - |
26 | 의왕시 | 기업일자리과 | 031-345-2714 | - |
27 | 양평군 | 가족복지과 | 031-770-2626 | - |
28 | 여주시 | 사회복지과 | 031-887-2953 | - |
29 | 동두천시 | 복지정책과 | 031-860-2481 | - |
30 | 과천시 | 복지정책과 | 02-3677-2868 | - |
31 | 가평군 | 일자리정책과 | 031-580-2955 | - |
32 | 연천군 | 복지정책과 | 031-839-2263 | - |
📌 각 시·군별 담당 부서로 직접 문의하면 청년기본소득 관련 맞춤형 상담이 가능합니다.
경기도 콜센터 문의
☎ 031-120 (경기도 대표 민원 콜센터)
✅ 운영시간: 평일 09:00~18:00
✅ 문의 내용: 청년기본소득 신청 방법, 지급 일정, 경기지역화폐 사용처 안내 등
📌 경기도 전역의 청년기본소득 관련 일반적인 문의는 경기도 콜센터에서 상담받을 수 있습니다.
청년기본소득 관련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?
- 해당 지역의 청년정책 담당 부서로 문의
- 경기도 콜센터(031-120)로 상담 요청
- 신청 및 지급 절차는 아래 바로가기에서 확인
2025년 청년기본소득 1분기 신청이 진행중입니다. 신청 기한을 놓치지 말고 관련 내용 확인하시고 청년기본소득 100만원 받아가세요~😊♥️
📢 함께 보면 좋은 글
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방법 및 총정리
📢 경기도 청년이라면 누구나! 2025년 청년기본소득 신청하고 연 100만 원 받으세요!경기도는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2025년 청년기본소득을 운영합니다. 만 24세 청년
bymyme.com